전체 글 1272

망사형 크랙 & 콘크리트폴리싱

망사형 크랙 & 콘크리트폴리싱 OOOO사옥 신축현장 2개 층 폴리싱 마감 콘크리트 폴리싱 공사를 하면서 매우 어려운 바닥은, 망사형(설치된 철근 또는 와이어메쉬의 형태가 그대로 형성된 바둑판 모양)크랙 또는 방사형(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 모양으로 뻗어 나간 모양)크랙이 발생된 바닥일 것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피복 두께가 얇을수록 망사형 크랙이 보이게 된다. 그라인딩 공법의 폴리싱 마감이나 침투성 표면강화제만 도포한 후 버니싱 마감을 하는 공법이나, 또는 투명한 코팅제로 마감하는 공법의 노출마감으로 하게 되면 크랙의 모양이 보일 수밖에 없다. 컬러로 된 도료로 마감을 한다면 크랙의 모양은 감춰질 것이다. 어쨌거나 연삭 작업 후 청소를 해보니 방사형 크랙도 보이고, 망사형 크랙도 보여져, 최종 마감을..

주택 출입구 바닥 보수

주택 출입구 바닥 보수 서울 마포구 동교동 50년 된 건축물 오래된 주택 건물인데 2층으로 되어있다. 반지하까지 하면 3개 층이고 이중 중간의 1층 바닥을 개선하는 작업이다. 비만 오면 아래로 물이 지하로 새기도 하지만 레벨(수평)도 맞지 않아 물고임이 심하다고 한다. 또한 실내(거실)보다 출입구 바닥에 추가로 시공된 타일 두께만큼 높아져 거실로 물이 스며든다. 아마도 처음에는 코킹 처리가 잘 되어 스며드는 물이 없었겠지만 건령이 오래 되다보니 코킹도 부식되다시피 해 누수가 되는 것 같다. 맨 아래 바닥면에 타일이 깔려 있고, 그 위에 다시 두꺼운 타일이 깔려있다. 맨 아래 타일은 거실 바닥면과 비슷한 수평을 이루고 있다. 타일을 걷어내지 않고도 방수와 마감은 가능하지만, 타일은 철거하고 거실보다 낮게 ..

외부 바닥 침투성액상하드너 마감

외부 바닥 침투성액상하드너 마감 건물 정원에 일부분 바닥과 통행로가 콘크리트로 시공되어있다. 가운데 잔디가 심어져 있고 주변은 조경수가,,,, 외부의 콘크리트바닥도 침투성 표면강화제를 시공해 줌으로 먼지발생이 없게 하고 계절적 기온에 풍화발생을 억제시키고, 표면을 단단하게 하는 것이 좋다. 침투성 표면강화제(액상하드너)를 시공하기에 앞서 con"c표면을 연마해준다. 작업장 주변이 민감하기에 분진발생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기계의 연마하는 부분을 완전 밀봉하고 집진기를 연결해서 작업에 임한다. 세민기공 Tel : 031) 281 - 6999, 6996 http://smcoat.com/default.asp?mnuidx=132&mode=view&fstcode= SMP-1500R 현재 페이지 위치 홈 > > S..